본문 바로가기

경제

반등하는 투자시장/본격 랠리시작?

오늘 시장이 참 좋습니다.

코스피 +2.62%

닛케이 +0.59%

상하이종합 +0.58%

센섹스 +1.41%

비트코인 +0.75%

주요 지수 변동

이렇게 빨간색으로 도배된 게 정말 오랜만에 보는 듯합니다.

이렇게 반등하는 시장에

정말 찐 반등인지 아니면 낚시꾼의 낚싯바늘에 물려 미끼가 될지 

아직까지 아리송~합니다.

 

저는 한국시장의 경우 하락장이 끝나가는 게 아닌가 의견을 드렸고

미국시장의 경우는 하락장이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는 중이고요.

https://ju-econonsociety.tistory.com/9

 

대규모 펀드들의 리밸런싱/주식과 채권

얼마 전, 예상보다 CPI가 좋아도 금리인상이 시장 예측치만큼 나와도 주식시장은 크게 상승을 못할 것이고 시장은 이미 이것을 반영했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대로 주식은 잠깐의 상

ju-econonsociety.tistory.com

저도 경제지표만 보고 그렇다는 정확한 근거를 제시드리진 못합니다.

다만, 이러한 상황 때문에 가능하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죠.

그럼 조금 시간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좋을 거라 생각합니다.

 

1. 코스피

유럽과 미국을 같이 비교해서 보면 좋을 듯 하지만,

시간도 너무 오래 걸리고

한국지수만 보겠습니다.

KOSPI (1W)

코스피 주봉입니다.

2000년 이후로 50주 이동평균선과 200주 이동평균선이 데드크로스를 할 때

지난 코로나를 제외하곤 

잠시 주춤 후, 전부 상승랠리를 가졌습니다.

사실 코로나 때도 엄청나게 빠졌지만,

금방 반등하여 엄청난 상승장을 만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간은 데드크로스가 확정된 것을 알 수 있고

향후 방향은 어찌 될지 모르겠으나,

비슷한 패턴을 가진다면

잠시의 하락 후 상승랠리를 가질 확률이 크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습니다.

차트적으론 그렇다는 이야기고,

경제지표를 천천히 보겠습니다.

 

1) 임금상승률

임금상승률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 임금상승률은 평균적으로 3~4% 수준을 보인 듯합니다.

(우리나라가 저렇게 높았나요?...)

 

2) 물가상승률

한국 월별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YoY 기준으로 5.0% 수준을 보여줬습니다.

 

저는 투자시장 상승 조건이 임금상승률이 인플레이션보다 높아졌을 때,

투자시장 상승랠리의 조건으로 생각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돈이 남아야 투자를 하죠?

현재 한국 인플레이션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 보이고

임금상승이 따라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도 비슷한 흐름이지만 좀 더 다른 상황입니다.)

 

3) 취업자 수

취업자 수

매일 실업난이다, 정리해고 등 뉴스가 나오지만

취업자수가 지난 10년간 최고치에 달합니다.

그만큼 노동인구가 많다는 뜻이고

여러 기업들이 움직이고 있다는 뜻이겠죠.

 

4) 인구구조

세대별 소득평균과 우리나라 인구구조입니다.

우리나라 평균연령은 이미 2020년에 42.7세이고 2026년에 46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대별 소득을 보면 40~49세 사이가 제일 높다는 것도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고요.

연공서열에 의한 나이가 들수록 소득이 많아지는 구조가 한몫하는 듯 보입니다.

즉, 현재 우리나라 경제는 X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들은 노후대비에 상당한 관심이 많다는 겁니다.

그동안 예적금으로 노후대비가 힘들다는 것을 이들도 보고 자라왔으며,

평균연령이 늘어나는 요즘, 노후대비에 관심이 무척 많다는 거죠.

위 기사처럼 이들은, 금융기관에 거래할 의향이 매우 높다는 조사도 나왔습니다.

한평생 가장 소득이 많은 구간일 때,

돈을 불려 나가고 싶은 것은 인류의 깊게 자란 욕망일 겁니다.

 

걱정하던 경제침체를 무사히 지나고

인플레이션이 잡혔을 때, 언제든 투자시장에 들어올 의향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부채규모 문제도 제기할 순 있지만,

좀 더 다른 문제이고 부채규모를 끌어올린 건 MZ세대가 한몫했습니다.

 

2. 단기적 방향

코스피 일봉을 봤을 때,

하락 후 크게 삼각수렴을 그리거나 아담과 이브 패턴을 보이고 있는 듯합니다.

이 두 가지가 가능성이 크지만,

 

하락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떨어지는 미국시장과 강하게 동조되어 떨어진다면 1800~1900까지라고 보고 있습니다.

 

 

결론) 길게 봤을 때, 한국시장은 아직 상승여력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