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채권

채권/주식/비트코인/갈 길은 간다. 안녕하세요. 이번 SBV 사태가 발생한 후 시장은 상당한 변동성을 가져왔습니다. 이것을 보고 드디어 올 것이 왔구나 생각이 들었고 다소 긴가민가도 했고 자꾸 방향이 틀리지 않았나 고민했지만 제가 생각했던 것이 드디어 맞추게 됐구나 생각들었습니다. 우선 채권을 보도록 하죠. 1. 채권 https://ju-econonsociety.tistory.com/15 채권의 움직임/금리 인하 시사? 안녕하세요. 이번에 채권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고 금리가 어디까지 인상할지/자산은 어떻게 움직일지 간단히 고찰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1. 채권 요즘 주식장과 코인장이 좋아지고 ju-econonsociety.tistory.com 지난번 현재 시장은 앞뒤가 안 맞는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당시의 시장 분위기는 금리가.. 더보기
채권의 움직임/금리 인하 시사? 안녕하세요. 이번에 채권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고 금리가 어디까지 인상할지/자산은 어떻게 움직일지 간단히 고찰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1. 채권 요즘 주식장과 코인장이 좋아지고 있으나 채권 움직임이 심상치 않더라고요. 미국채 10년물 채권가격과 채권금리입니다. 보시면 채권가격이 상단 저항선에 위치해 있고 금리는 지지선에 위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면 이제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채권금리는 오른다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분위기는 이제 금리가 정점에 다가왔고 곧 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입니다. 현재 시장은 뭔가 앞뒤가 맞지 않아 보입니다. 채권금리가 다시 오른다는 것은 곧 기대인플레이션이 올라간다는 말이고, 미연준의 1순위 목표는 인플레를 잡는 것이기에 금리 인하에 대해 결.. 더보기
경제 각종 이슈/금의 부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각종 경제이슈를 소개드리고 투자자입장에서 어떻게 접근할지 같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1. BoJ의 정책 전환 지난 20일 일본이 드디어 금리인상을 시사했습니다. 그동안 일본은 0.25%대의 금리를 맞춰놓고 무제한 채권 매입을 보여줬는데.. 미국이 금리를 갑작스레 인상하면서 엔화 약세로 인해 자금이 해외로 계속 유출됐습니다. 이에 채권매입을 줄이고 금리인상을 시사했습니다. 특히나 일본은 미국채만 약 1.2조달러를 보유하고 있고 국채뿐만 아니라 주식까지 던지고 돌아온다면 상당한 하방압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걱정되는 건 엔화 강세, 달러 약세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면 인플레이션은 잡을 수 없다는 것이고 미국이 금리인상에 더 박차를 가한다면 기준금리는 더 올라갈 것으.. 더보기
대규모 펀드들의 리밸런싱/주식과 채권 얼마 전, 예상보다 CPI가 좋아도 금리인상이 시장 예측치만큼 나와도 주식시장은 크게 상승을 못할 것이고 시장은 이미 이것을 반영했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대로 주식은 잠깐의 상승 후 떨어지고 있고 미국채 10년 물은 변동하지도 않았습니다. (어제오늘 좀 올랐더군요) https://ju-econonsociety.tistory.com/6 주식/코인/예상보다 좋은 CPI/이제는 금리는 중요한 사항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됐고 예상치보다 낮은 수치가 발표됐네요. https://ju-econonsociety.tistory.com/4 2022년 12월 미국 기준 금리인상은 낮을 수 있다. 안녕하세요. 최근 유래 없 ju-econonsociety.tistory.com 그러다 .. 더보기